
신장 투석은 말기 신부전 환자들에게 필수적인 치료 방법입니다. 특히, 혈액투석을 주 3회 받아야 하는 환자들은 비용 부담이 클 수 있습니다. 따라서 비용 부담을 줄이는 방법과 적절한 의료기관을 선택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신장투석 비용 줄이는 방법
1. 산정특례 제도
- 적용 대상: 만성신부전 환자는 희귀난치성질환 건강보험 산정특례 대상입니다.
- 혜택: 입원, 외래 혈액투석 비용의 10%만 부담.
- 등록 방법: 병원에서 산정특례 등록을 안내받을 수 있습니다.
만성신부전 환자를 위한 최신 건강보험 혜택 및 장애인 보조기기 지원 확대
정부는 국민의 의료비 부담을 줄이기 위해 중증질환 치료 신약을 건강보험 급여 대상에 포함시키고, 장애인 보조기기 지원을 확대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조치로 인해 환자들의 의료비 부담이 크게 줄어들 것으로 기대됩니다.
2. 본인부담상한제
- 목적: 환자의 과도한 의료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1년간 본인 부담금이 초과한 금액을 건강보험공단에서 부담.
- 적용 제외 항목: 비급여 비용, 선별급여, 임플란트, 상급병실 입원료 등.
- 상한액: 개인의 소득수준에 따라 1~10분위로 나눠짐.
분위 | 본인부담 상한액 (2021년 기준) |
---|---|
1분위 | 125만원 |
2~3분위 | 157만원 |
4~5분위 | 212만원 |
6~7분위 | 282만원 |
8분위 | 352만원 |
9분위 | 433만원 |
10분위 | 584만원 |
- 예시: 만성신부전 환자가 8분위(본인부담상한액 연간 352만원)이고, 산정특례 적용 후 1년간 총 본인부담금이 800만원인 경우, 2022년에 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448만원을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신장병이 걱정되시나요? 혹시 혈액투석이나 복막투석을 받고 계시지는 않으세요?
신장에 좋은 음식과 신장이 안 좋을 때 나타나는 증상을 일일이 검색하는 데 지치셨다고요?
저염식이 좋은지 아닌지, 칼륨은 얼마나 섭취해야 하는지 궁금하시죠?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신장내과 김세중 교수가 과학적으로 검증된 정보들만 모아
신장병 환자분들이 궁금해할 내용들을 시원하게 해결해드립니다.
신장병의 단계별로 지켜야 하는 생활 수칙과 식습관도 함께 전달해 드리니
놓치지 말고 끝까지 시청해주세요!
3. 검사 및 약값
- 기본 투석 비용: 약 168,590원 (본인부담금 약 16,800원).
- 한 달 투석비용: 주 3회 기준 약 201,600원.
- 검사비: 약 37,521원 (본인부담금 약 3,752원).
- 총 비용: 기본 투석비, 검사비, 약값 등 추가 비용 발생.
혈액투석 의료기관 선택 기준
1. 신장내과 전문의 및 경력 간호사 확인
- 의료진: 신장내과 전문의가 근무하고, 혈액투석 경력이 많은 간호사가 근무하는 의료기관이 안전합니다.
2. 투석 장비 확인
- 장비: 고효율 투석기와 투석 필터가 장착된 장비를 사용하는지 확인.
3. 적정성평가 확인
- 평가항목: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실시하는 혈액투석 의료기관의 적정성평가 결과를 참고.
4. 식이요법 제공 여부
- 식단: 환자의 상태에 따라 적절한 식단을 제공하는지 확인.
종합
혈액투석 치료를 장기적으로 받아야 하는 환자들은 산정특례 제도와 본인부담상한제를 잘 활용하여 진료비 부담을 줄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적절한 의료기관을 선택하는 것이 환자의 건강과 치료 효과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신장내과 전문의와 경력 간호사가 있는 병원을 선택하고, 최신 장비와 적절한 식단을 제공하는 병원을 찾는 것이 좋습니다.